구글시트 시트 간 데이터 자동 연동하기

구글시트 시트 간 데이터 자동 연동하기

구글 스프레드시트는 현대의 업무 환경에서 뛰어난 데이터 관리 도구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여러 시트 간의 데이터 연동 과정은 다양한 사용자에게 유용한 기능이 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데이터 자동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연동의 필요성

구글 스프레드시트 간 데이터 연동은 다양한 업무 흐름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판매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업무에서 여러 시트에 존재하는 고객 데이터와 제품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업무 효율성 향상
  • 중복 데이터 방지
  • 실시간 업데이트 및 변경사항 반영

구글 스프레드시트 설정하기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데이터 연동을 구현하려면 먼저 몇 가지 기본 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다음은 스프레드시트를 설정하는 단계별 설명입니다.

1. 구글 드라이브에 접속하기

구글 드라이브에 로그인 후,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선택합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개인 및 비즈니스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2. 새 스프레드시트 생성

새 스프레드시트를 시작하려면 메인 화면에서 ‘빈 스프레드시트’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생성한 스프레드시트는 나중에 데이터 연동의 기초가 될 것입니다.

3. 스크립트 편집기 열기

스프레드시트의 상단 메뉴에서 ‘도구’를 클릭한 후 ‘<> 스크립트 편집기’를 선택합니다. 이 지점을 통해 JavaScript 기반의 구글 앱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연동을 위한 구글 스크립트 작성

스크립트 편집기가 열리면,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코드를 삭제하고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합니다. 이 코드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시트에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시트 이름을 지정합니다.
var XLS_SHEET_NAME = '시트1'; 
var XLS_SCRIPT_PROP = PropertiesService.getScriptProperties(); 
// GET 및 POST 요청을 처리합니다.
function doGet(e) {
  return handleResponse(e);
}
function doPost(e) {
  return handleResponse(e);
}
function handleResponse(e) {
  var lock = LockService.getPublicLock();
  lock.waitLock(30000); // 30초 대기
  try {
    var doc = SpreadsheetApp.openById(XLS_SCRIPT_PROP.getProperty('key'));
    var sheet = doc.getSheetByName(XLS_SHEET_NAME);
    var nextRow = sheet.getLastRow() + 1;
    var row = [];
    // 헤더에 따라 데이터를 삽입합니다.
    for (var i in e.parameter) {
      row.push(e.parameter[i]);
    }
    sheet.getRange(nextRow, 1, 1, row.length).setValues([row]);
    return ContentService.createTextOutput(JSON.stringify({'result':'success'})).setMimeType(ContentService.MimeType.JSON);
  } catch (e) {
    return ContentService.createTextOutput(JSON.stringify({'result':'error', 'error': e})).setMimeType(ContentService.MimeType.JSON);
  } finally {
    lock.releaseLock();
  }
}

스크립트 실행 및 웹 앱 배포하기

스크립트를 추가한 후, ‘실행’ 메뉴를 선택하여 ‘setup’ 함수를 실행합니다. 이는 스크립트가 동작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이어서 ‘게시 > 웹 앱으로 배포’를 클릭하여 웹앱 URL을 생성하세요. 이 URL은 다른 서비스와 연동할 때 사용됩니다.

데이터 연동 활성화하기

최종적으로, 생성된 웹앱 URL을 활용하여 필요에 맞는 데이터 수집 폼이나 다른 스프레드시트와의 연동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시스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결론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통한 데이터 연동은 효율적인 업무 관리와 데이터 통합의 중요한 방법론입니다. 위의 과정들을 통해 손쉽게 스프레드시트 간의 데이터 연동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을 통해 업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데이터 관리 방식에 대해 탐구하며, 실무에 유용한 팁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많은 활용 바랍니다!

자주 물으시는 질문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데이터 연동의 이점은 무엇인가요?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데이터를 연동하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중복 데이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 받을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해집니다.

시트 간 연동을 시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데이터 연동을 위해 먼저 구글 드라이브에서 스프레드시트를 생성한 후, 스크립트 편집기를 통해 필요한 코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이 과정으로 데이터 연동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연동을 위한 Google Apps Script 코드는 어떤 형태인가요?

Google Apps Script는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 수집 및 저장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특정 시트에 자동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웹 앱 배포 후 해야 할 작업은 무엇인가요?

웹 앱을 배포한 후 생성된 URL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집 폼 또는 다른 시트와 연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소스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